하동군, 2024 민원서비스 종합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상위 10% 이내 최고등급 획득…민원제도 운영·고충민원 처리 분야에서 활약

2025년 2월 5일 <수요일> OBNTV열린방송

하동군이 행정안전부‧국민권익위원회가 주관하는 ‘2024년 민원서비스 종합평가’에서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어 정책의 올바른 방향성을 입증했다.

민원서비스 종합평가는 전국 307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민원제도 운영국민신문고 및 고충 민원 처리 실태민원 만족도 등을 평가해 등급(~마등급)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번 평가에서 하동군은 군민 소통협력관(민원상담운영북천면 이명지구·진교면 평당지구 돈사 철거 추진 등의 실적을 인정받아 상위 10% 이내의 ‘가’ 등급을 획득했다.

이는 민원 해결방안 제시집단 고충민원 해소 노력 부문에서 하동군의 노력이 빛을 발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적극적인 민원 해결을 위해 2023년 11월 위촉한 소통협력관은 지난해까지 309건의 민원을 처리하며 주민들이 손꼽는 우수 시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 외에도 하동군은 △화요일 야간민원실 운영 △취약계층 여권 무료배송 △민원 처리사항 주기적 확인‧점검 등 대민업무 편의 제공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민원 담당자 보호도 소홀히 하지 않고 있다.

△특이 민원 대응훈련 △점심시간 휴무제 △힐링 프로그램 운영 등은 민원인뿐만 아니라 민원 담당자들의 복지를 향상하며 직원들의 사기를 북돋웠다.

하승철 하동군수는 “군민과 직원들이 다 함께 노력한 결과로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며“이번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수요자 중심의 더 나은 민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하동군은 민원 편의 향상을 최우선으로 하며더 나아가 주민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최선의 정책들을 지속해서 펼쳐 나간다는 방침이다.

 /하동뉴스편의점 obntv2016@hanmail.net   ※출처/하동군 보도자료

<하승철 하동군수>
하동군이 전국 307개 공공기관 민원서비스 종합 평가에서 "가"등급을 받아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 었습니다. 행정안전부‧국민권익위가 실시한 객관적 평가이고 전국 226개 기초지자체중 상위 10%이며,22년 민선8기 출범이후 매년 등급이 올랐다 (다-->나 -->가)는 점에서 하동군의 민원서비스 개선을 위한 진심은 인정받을 만하다고 생각합니다.높은 평가의 몇가지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군민소통관 협력관(365군민상담센터) 운영

1. 2023년 11월부터 하동군은 민간전문가를 군민소통 협력관(365군민상담센터)으로 임용하여 309건의 고충민원을 처리했습니다. 예를 들어 하동군내 공사 하도급 업체가 장비대 유류대 식대를 지불않고 잠적하는 바람에 하동군민이 7천4백만원의 피해가 발생했을때, 1개월간 끈질기게 추적하고 본청업체를 설득하여 피해액 전액을 해결한 사례가 있었습니다.

* 365 군민상담센터(소통협력관) 880-2158

2. 수십년간 지속된 북천면 이명마을, 진교면 평당 마을의 축사 집단민원입니다. 악취로부터 주민들을 해방시켜 드려야겠다는 의지를 갖고 전략적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정부를 설득해 23년과 24년 연속으로 농촌공간정비사업에서 합계 95억원의 사업비를 확보했습니다. 악취가 극심한 돈사를 철거하여 귀농귀촌 주택 및 교육공간으로 활용하는 사업을 진행중에 있습니다.

별천지 빨리처리기동대

3. 주민의 생활속 불편을 현장에서 해결하는 별천지 빨리처리기동대의 활약도 돋보였습니다. 올해 1월 3일 높은 천장의 전등이 고장났다는 고령의 어르신 신고를 받고 출동한 기동대가 즉시 처리하였고, 규격에 맞지않는 등은 재료를 구해 재방문하여 해결해드렸습니다.

* 별천지 빨리처리 기동대 880-8272

상수도 도로 민원 처리 기동대

4. 상수도나 도로에 문제가 생기면 상수도 도로 민원 처리 기동대가, 영농부산물 처리가 곤란하면 영농 부산물 파쇄기동대가 출동합니다. 주민의 아픔을 해결하는 3대 기동대의 활약을 응원해주세요.

하동에서는 보건의료원과 100원버스 등 편리한 정주여건 조성뿐 아니라, 생활속 사소한 어려움까지 마음을 읽고 차근차근 해결하겠습니다. 아이부터 어르신 모두가 행복해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Recent posts